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위험한 놀이(Risky Play)를 해도 괜찮을까?

by Vonnie 2022. 2. 14.

어릴 때 나는 꽤 천방지축이었다. 놀이터 철봉에 거꾸로 매달려 놀기, 타이어 징검다리를 뛰면서 건너 다니기, 폭죽놀이, 불놀이 등등 위험한 놀이를 즐겼어서 몸에는 항상 작고 큰 상처가 있었다. 엄마는 위험하게 놀면 다친다고 했지만 노는 것이 마냥 즐거운 잼민이 에게는 그저 귀찮은 엄마의 잔소리였을 뿐. 이렇게 위험하게 노는 것을 늘 즐겼지만 육교 위에서 자전거와 함께 굴러 10방을 꿰매 영광의 상처가 남은 것 빼고는 어디 뼈 하나 부러진 곳 없이 무사히 잘 컸다. 워낙 내가 왈가닥으로 커서 그런 걸까? 나는 비비가 안전하다 생각하는 놀이의 바운더리를 넘어서 노는 것을 잘 막지 않는 편이다. 워낙 조심성이 많은 아이라 조금이라도 한계를 넘으려는 것을 보면 막기보다는 되려 응원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남편은 금지옥엽 외동딸 조금이라도 다칠까 싶어서 소파에만 올라가도 "조심해!", "안돼. 비비"라고 제지를 한다. 

 

 

 

 

위험한 놀이의 8가지 정의

연구는 위험한 놀이를 '불확실성과 신체적 상해 위험을 수반하는, 스릴 있고 흥분되는 형태의 신체 놀이'라고 정의했다.

 

  1. 높은 곳에서 놀기 (ex. 나무 오르기)
  2. 빠른 속도로 놀기 (ex. 자전거나 롤러스케이트 등을 빠르게 탐)
  3. 강한 충돌을 하며 놀기 (ex. 자동차끼리 부딪히고 놀기, 범퍼카)
  4. 위험한 기구로 놀기 (ex. 공구, 가위 등)
  5. 거칠게 몸으로 놀기 (ex. 레슬링)
  6. 홀로 주위를 탐색하기 (ex. 혼자 공원이나 숲 산책)
  7. 위험한 요소들로 놀기 (ex. 불장난)
  8. 상상 놀이 (다른 아이들이 위 1~7번의 위험한 놀이를 하는 것을 보며 대리 만족)

 

캐나다의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UBC)와 브리키시컬럼비아 아동병원 소속 아동 및 가족 연구재단의 공동연구에 따르면, 위험한 바깥 놀이가 아이들의 신체적인 건강뿐 아니라 창의력 및 사회성, 어려운 상황에서의 회복력, 자신감 등을 향상하는데도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암벽 타기, 점프 등 거칠고 굴러 떨어질 수 있고 탐험을 하는 것 등의 신체활동을 한 아이들이 더 강한 체력과 뛰어난 사회성을 갖게 된다고 합니다.

논문의 저자이자 UBC 소아청소년과의 인구 및 공중위생학과 마리아나 브루소니 조교수는 “아이들이 위험을 맞닥뜨릴 수 있는 놀이환경이 사회적 상호작용, 창의력 및 회복력 등을 증진시키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습니다.

민혜영, "위험한 놀이를 즐긴 어린이가 더 강한 체력과 사회성을 갖는다?", <동아사이언스> 2017.08.06

 

어떻게 놀아줘야 할까?

위의 정의를 보고 겁먹고 미리 걱정해 아이를 제지하는 것보다는 위험한 놀이를 응용해서 아예 아이에게 (안전한) 거친 놀이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좋다.

  • 높은 곳에 올라갈 때 밑에 완충재를 놓거나, (실내 : 매트, 실외 : 나뭇잎 쌓기)
  • 야외에서 놀 때 깨진 유리병, 위험한 돌, 나무 뿌리 등을 제거해놓기
  • 아이가 탐색을 할 때 옆에서 제지하거나 놀라는 식으로 말하면 아이가 더 놀라 다칠 수가 있으니,
    왼쪽 바위를 딛는 게 미끄러 지지 않고 올라갈 수 있을 것 같아, 잘하고 있어 하며 부모가 상황을 감독하며 응원해주기.
  • 자연환경이 있는 야외에서 매일 충분한 시간동안 놀아 자연 결핍증후군을 예방하기. 
“10세 이하의 아이들은 하루에 최소 4시간 이상 자연환경이 있는 야외에서 놀아야 한다”
리처드 루브, 《자연에서 멀어진 아이들》, 즐거운 상상, 2017.03.03

한 통계에 따르면 10세가 되기 전 크고 작게 다친 아이들이 10대 이후 위험한 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는 능력이 훨씬 높다고 한다. 하지만 상업화와 획일화된 놀이 공간, 노는 환경이 아이들의 개성과 창의성을 막고 있다고 한다. 물리적으로 공간과 상황을 통제한다고 해서 사고나 위험을 줄일 수가 없기에 놀이를 통해 아이들 스스로 위험에 대한 통제 능력을 키워주는 것이 더 바람직한 방법인 것이다. 지금 당장의 아이의 안전을 지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나중의 미래를 위해서, 창의력과 자신감을 쌓게 하는 놀이를 많이 해주고 환경을 만들어 줘야 하는 것에 부모가 반드시 해야 하는 것임을 또 깨닫게 된다.

댓글